본문 바로가기
일상

변영인 교수 특강(2강)

by 미소1004 2010. 1. 4.
가족:힘겨루기(power game)를 많이 한다.
1)남자와 여자는 만들 때 재료부터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라.
좌뇌와 우뇌의 다리 역할을 하는 '뇌량'이라는 것을 하나님께서 만들 때 남자는 단선으로 뇌량을 만들고 여자는 돕는 베필로 만들기 위해 광케이블로 뇌량을 만드셨다. 
남자들은 관계지향적인 일을 하지 못한다.
유난히 여자는 남자보다 섭섭함을 많이 느낀다.
2)계시된 진리=성경말씀(인간이 살 수 있는 틀)
  발견된 진리=학문
3)인간이 가져야할 역사의식:교쳐야할것과 끝까지 가지고 가야할 것을 구분해야한다.
4)감정의 삼각형 만들기
사람은 살아가면서 자신의 느낌, 자신의 감정을 먼저 생각하고 쥐고 있고자 하는 경향이 있다.  신앙이 좋은 사람조차도 그러하다.
우리가 이만큼 산것도 남편 또 아내의 덕임을 인정해야한다. 항상 고백할 수 있어야 한다.
나는 옳고 너는 틀렸다고 하는 생각을 가진 사람은 병자다.편집증
HAN(한)
HWA BYUNG(홧병,화병) 한국인 여자의 심리적 상태를 표현하는 학회에 등록된 고유명사 . 사람이 가슴으로 인정하지 않으면서도 나는 틀렸고 너는 맞다라고 하면 한이 생긴다.
의지와 고집의 차이는
의지는 나는 객체이고 목적이 주체다.
고집은 나는 주체이고 목적은 객체다.
사랑은 의지의 결단이다. 

에릭슨의 8단계 발달이론
1)  0세 -12개월      신뢰/불신        이기간에 사랑을 받지 못한 사람은 자신 뿐이나라 남을빋지 못하는 사람이 된다. 조두순 사건의 예
2)12개월-3세         자율/수치심
3) 3세-   6세         솔선성/죄책감    사람은 정서적으로 외로우면 병들어 버린다.
4) 6세- 12세          근면성/열등감
5) 12세-22세          정체감/역할 혼미   정체감이 없는 사람은 내가 무엇을 하며 무슨일을 해야할지 꿈을 못꾼다.
6) 22세- 35세         친밀감/고립감     
7) 35세-55세          생산성/침체성
8) 55세-죽을 때 까지  자아통합/절망감   까다로운 사람은 절망감이 많은 사람이다라고 생각하면 된다. 자아통합이 된사람은 가난해도 다소 부드럽다.
마음의 중심을 하나님께로 가져가라.
나와 다른 사름의 꼴을 못본다. 나와 다른 사람의 의식을 변화시키는 것이 능력이다. 자녀의 연약한 영성을 위해 기도하라  남편을 위해 기도하라 그래도 기도하라 여자의 칭찬이 필요한 존재가 남자다.
우리 가운데 예수가 계시냐 계시지 않는냐가 너무 중요하다.
사랑에는 실천적인 사랑이 필요하다. 찔림 받을 때 아파야하고 아플때 팍 아파야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