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계 이황은 삶의 뿌리, 삶의 근원을 '효'라고 하였습니다.
1절-자녀들아 너희 부모를 주 안에서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이 말씀은 부모의 말씀을 들을 때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 처럼 순종하며 들으라고 하는 것입니다. '순종'이란 '의지적으로 말을 잘 듣는 것'을 의미합니다.
2절-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있는 첫계명이니
순종이 의지와 관련한 것에 반해 '공경'은 '감성적으로 존경하는 태도나 마음'을 뜻합니다. 우리의 효는 순종의 단계를 넘어 감성적으로 존경하는 태도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3절-이는 네가 잘 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
여기서의 잘됨은 잘먹고 잘사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나의 아픔과 괴로움을 내려놓고 털어 놓을 수 있는 대상이 부모님임을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있는 짐은 누군가가 받아 주고 들어주어야 하는데 그 첫째 대상이 부모님인 것입니다.
내가 부모님과 어떤 관계를 가지느냐가 신앙생활의 성패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삭과 요셉의 특징은 그들이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형통한 삶을 살았다는 것인데 그들의 인생을 살펴보면 아버지와의 관계가 매우 좋았다는 공통점을 볼 수 있습니다.
인륜(효)을 지키지 못하면 우리의 신앙은 새빨간 거짓말에 불과합니다.
1절-자녀들아 너희 부모를 주 안에서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
이 말씀은 부모의 말씀을 들을 때 하나님의 말씀을 듣는 것 처럼 순종하며 들으라고 하는 것입니다. '순종'이란 '의지적으로 말을 잘 듣는 것'을 의미합니다.
2절-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있는 첫계명이니
순종이 의지와 관련한 것에 반해 '공경'은 '감성적으로 존경하는 태도나 마음'을 뜻합니다. 우리의 효는 순종의 단계를 넘어 감성적으로 존경하는 태도로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3절-이는 네가 잘 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
여기서의 잘됨은 잘먹고 잘사는 것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나의 아픔과 괴로움을 내려놓고 털어 놓을 수 있는 대상이 부모님임을 말하고 있습니다.
우리에게 있는 짐은 누군가가 받아 주고 들어주어야 하는데 그 첫째 대상이 부모님인 것입니다.
내가 부모님과 어떤 관계를 가지느냐가 신앙생활의 성패를 결정하게 됩니다.
이삭과 요셉의 특징은 그들이 하나님과 사람 앞에서 형통한 삶을 살았다는 것인데 그들의 인생을 살펴보면 아버지와의 관계가 매우 좋았다는 공통점을 볼 수 있습니다.
인륜(효)을 지키지 못하면 우리의 신앙은 새빨간 거짓말에 불과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