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2014. 9~12 몽골 파견교사

몽골-43일차(2014.10.15 수)-천준벌떡

by 미소1004 2014. 10. 15.

수요일 초등학교 수업을 다른 날로 분산하여 수업한 후에 오늘은 교감샘의 허락을 받고 알틍수지 협력교사와 통역과 ‘천준벌떡’에 다녀오기로했다.

허허벌판에 40m짜리 징기스한의 동상이 볼거리의 전부이지만 한 번은 가보아야 할 것 같았다.

가는 길에 암갈랑 시장에 들러 음료수, 과일 절인 것, 쿠키를 사들고 차를 달렸다. 나는 집에서 토마토를 가져가고 통역은 과일 샐러드를 가지고 왔다.

통역의 차를 기름값 2만 투그릭을 주고 천준벌떡까지 (50km)빌려 타기로 했다.

천준벌떡을 들어서면 엄청난 크기 징기스한 동상과 몽골신을 볼 수 있다.  그 신은 소 225마리의 가죽으로 만들어졌으며 9m 높이의 크기로 기네스북에 올라있다고 한다. 1층에는 3000투그릭을 주고 전통 몽골옷을 입어볼 수 있는 곳이 있으며 기념품샵도 있다. 지하에는 몽골 박물관이 있다. 대부분의 몽골 박물관이 그러하듯 여기도 촬영금지이고 기원전 몽골 사람들이 사용했던 청동검, 옷장식, 허리띠, 청동거울(우리나라와 비슷)등의 유물이 전시되어있다.

2층은 식당이고 멀리서 보았을 때, 징기스한의 말 높이까지 엘리베이터를 타고 올라가 징기스한 앞에서 사진도 찍고 주변 경치를 볼 수 있는 시설이 되어 있다. 볼거리라고는 딱 그 동상 하나.

주변에는 여름에 사람들이 캠핑을 오거나 쉴 수 있는 게르 캠핑장이 있다.

2층에서 수태차 한 잔을 마시고 다시 집으로 돌아와 협력교사에게 집을 보여주고 조층(손님)이라는 이름의 체인점 비슷한 카페에서 생선까스(알틍수지), 파인애플 닭고기 밥(뭉근), 호쇼르(나)를 먹고 하루를 마쳤다. 나는 호쇼를 한 개 먹으면 딱인데 4개가 1인분 인가보다. 한 그릇에 16000~17000투그릭에 음료값은 별도이니 상당히 비싼 음식이다. 그래도 오늘은 내가 대접하는 날이니까 맛있는 식당으로 가자고 했는데 맛이 있었는지는 모르겠다. 몽골에선 아직도 맛있다 또는 그럭저럭 괜찮다 생각되는 음식을 발견하지 못했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코가 막혀 호쇼르를 먹을 수 있다는 것이다. 물론 아직도 몽골음식은 친해지지 않는다.

길거리에 작은 포대 에 담겨있는 장작과 석탄을 보면서 1000~2000투그릭이 없어 게르에서 그냥 겨울을 지내는 사람들도 있다는데... 빈부의 차가 격심한 곳이다 하는 생각이 자꾸 자꾸 든다.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21

내일은 한국에서 몇 분의 이 사업 관계자가 우리학교를 방문하여 내 수업을 보게 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