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1940

진주 용호정원 ​명석 조비마을에 있는 용호정원. 연꽃이 이쁜 곳인데 아직 꽃은 피지않았다. 새로산 스노우라인캠핑 테이블 사용. 백패킹용이라 그런지 견고하다고 할 순 없지만 상판이 금속이라 뜨거운 코펠 놓아도 안전하다. ​​ 2017. 6. 7.
사천 용소 ​여름철에만 북적대는 곳이다. 연천숲이 붙어 있고 그 옆 조그마한 개울을 따라 여름엔 평상이 쳐지고 물놀이를 하는 곳. 이곳에 며칠 전 구입한 코펠로 밥 해주겠다며... 남편이 몽 땅 다 하고 난 밥 얻어 먹고 책 한 권 읽고 왔다. ​​​​ 2017. 6. 4.
가족 MT ​하림이가 주말 낮 알바하는 곳을 오늘부로 그만 두었다. 진작에 그만 두었으면 싶었는데 오늘이 그날이다. 기념하기 위하여 예배 마치고 사천녹차단지에서 장어구이 파티를 했다. 그동안 힘들었지, 고생 많았다. ​​​​​​ 2017. 5. 28.
청계호수-캠핑 한 끼 ​몇 년만에 왔더니만 그 새 팬션, 식당이 많이 생겨 너무 낯설다. 가물어서인지 청계계곡 물이 거의 말랐다. 나무 아래 바위 그늘에 자리 잡고. 오늘의 캠핑 한 끼 '갈릭 새우'. ​​​​​​​ 2017. 5. 27.
주일 오후-아들들과의 riding & 문갤러리 ​​​​​​​​​​ ​ ​쉬고 또 쉬어도 피로가 가시지 않는다. 오후예배까지 드리고 일찍 저녁을 먹고 하림이 꼬셔서 자전거 타기로 했다. 빈이도 잠시 고민하더니 따라 나서고... 천수교 건너서 망경산 밑 새로 만든 둔치길 달리다 되돌아서 문갤러리를 방문. 화가는 미모의 기계공고 미술 선생님이라고 하시고 맛난 커피도 마시고 보기드문 LP 판으로 음악도 듣고 무엇보다 아이들을 좋아해 주셔서 감사했다. 남자 아이들은 처음이라고... 자주 놀러 오라고 하셨다. 2017. 5. 21.
편지 ​​ ​ ​사랑스런 아이들. 이 중에 아직 '코끼리' 글자도 쓸 줄 모르는 아이의 편지도 있다. 심지어 또박또박 정성스럽게 썼다. 틀린 글자 많아도 그 마음 아니까. 2017. 5. 15.
시댁 식구들과 1박 2일 ​토요일 오후 시댁 식구들과 1박2일 여행을 떠난다. 어머니, 망경동 작은아버지내외와 아들, 가좌동 작은 아버지 내외, 가와 고모님 내외. 동서네 가족 4명, 시누이 가족 3명. 장소는 달강펜션. 진수대교를 지나면 바로 있는 곳이다. 방 2개에 40만원. 저녁식사는 진양호반백숙촌에서 한방오리65000원 4상. 그 후 밤에 먹을 해물 20만원. 과일, 과자 등... ​​​​​ ​이 때까지만 해도 분위기가 좋았다. 문제는 숙소에 돌아와 해물을 장만하면서 부터 시작되었다. 식사시간 의자가 아닌 바닥에 앉아 식사를 해야한 나는 일단 허리를 한 번 눕혀줘야하는데 아가씨가 해물을 장만하는 동안 나는 밖 벤치에 누워 있었고. 주방이 좁아 동서는 해물 장만하는 걸 지켜보고 있어야만 하는. 결론적으로 아가씨와 어머니께서.. 2017. 5. 14.
진주 금산 금호지 ​청곡사 갈 요량으로 출발했는데 아무래도 오르는 길이 험할 것 같아 가는 동안 금호지로 교체. 참 아름다운 곳이다. 이곳은 저수지를 한 눈에 다 볼 수 있는 곳이 없다고 한다. 그래서 더 이름다운 듯하다. 벚꽃시즌에도 좋지만 지금도 이쁘다. 한 바퀴 쉬어가며 차 한잔 하며 도는데 2시간 이면 된다. 중간 중간 쉴 곳과 볼거리가 있고 지금은 저수지 한 가운데 다리 공사중인데 곧 완공이 될 듯 싶다. 걷는 길 대부분이 나무 그늘이라 여름에도 좋은 듯 싶도 못 안에 있는 Angelinus 가게에서 주차장으로 사용하고 있는 공간 끝자락의 벤치도 운치가 있고 좋다. 연못가 돌더미 위에 일광욕하는 남생이들도 보고. ​​​​​​​ 2017. 5. 13.
토요일 아침 ​나의 하루는 4:32 알람소리와 함께 시작된다. 이불 속에서 아주 잠깐 더 누워 있고 싶은 마음을 가져보지만 곧 몸을 일으켜 옷을 입고 자전거를 타고 교회를 향한다. 오늘 말씀은 '민수기 2장'. 민수기는 말 그대로 'Numbers'. 수에 관한 이야기다. 이스라엘 열 두 지파를 회막 중심으로 동서남북으로 3족속씩 세우시고 그 가운데 성막을 지키는 그 가운데 레위 족속으로 하나님께 제사드리는 일을 하게하셨다. 유목민이었던 이스라엘 민족에게 성막은 이동을 하였다. 그 당시 성막은 하나님이 임재하는 거룩한 곳이었고, 지금은 예수그리스도로 말미암아 예수님을 믿는 한 사람 한 사람이 교회 즉 하나님이 임재하는 거룩한 곳이 되었다. 하나님은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나를 구원.. 2017. 5. 13.
비 오는 날 황매산 ​오늘은 대통령 선거일. 이미 투표는 5월 4일에 했다. 비는 하루 종일 내린다고 하지만 ... 대충 짐을 챙겨 황매산으로. 주차비 계산할 때 부터 심상치 않은 안개. 비는 가랑비로 바뀌었는데 안개는 갈수록 더 짙어져 가시거리는 10m쯤. 꽃을 못봐서 그렇긴 해도 이런 안개 정말 좋아한다. 산 위는 기온이 더 떨어져서 손이 시리고 추워졌다. 앉을 곳이 마땅치 않으니 잠시 머물다 내려왔다. 점심은 '괴정마을' 정자에서 삼겹살과 함께. ​​​​​​​​​​ 2017. 5. 9.
어버이날 ​하림이 하빈이가 준비한 어버이날 꽃 바구니와 카드. ​ 2017. 5. 8.
허술한 나 ​ ​남편의 양말이 이 상태가 되었었는데 난 전혀 몰랐다. 2017. 5. 8.
5월 첫째주 주일 ​주일 예배 드리고 돌아 오는 길. 나는 자전거를 사랑한다. 요즘은 거의 함께 움직인다. ​ 2017. 5. 7.
연휴 4일차 어디를 가야할 이유도 인사를 한다거나 찾아봐야 할 어른이 있다거나 하는 일이 없는 그저 연휴. 5일간이겠지만 난 4일로 마무리하고 내일은 주일이니까 주일은 주일답게. 참 귀한 시간이었다. Good bye beautiful days! ​​​ 2017. 5. 6.
세상에서 가장 넓은 까페 2017. 5. 6.
시어머니, 아가씨와 식사하기 ​오랫동안 식당을 운영했던 아가씨가 지난 달에 식당을 그만 두고 쉬고 있다. 어버이날도 다가오고 해서 어머니 아가씨와 식사를 하고 어제 들렀던 와인갤러리 방문. 다음 달엔 어머니께서 한 턱 쏘신다고 미리 모임 예약. ​​​ 2017. 5. 6.
피부과 진료 ​집앞에 늘 다니는 피부과가 월요일까지는 문을 열지 않고 손가락 상태는 점점 악화되어 피부가 떨어져 나가면서 손가락 따끔거리는 것이 심해져 휴먼시아 아파트 근처 '고운피부과'에 왔다.문 열자마자 왔는데 대기하는 사람들이 많다. 독감시즌의 소아과 같다. ​​ ​내 손가락에 대한 처방이 다 다르다. 건선,함포진, 무좀. 손가락이 갈라질 듯 건조해서 너무 불편하다. ​ 진료비 5500원. 아마도 주말 진료니까 진료비가 좀더 나온듯. 이곳 의사의 진단명은 '습진'. 집 앞 김00피부과 선생님보다 친절하시고 환자의 갑갑함에 깊이 공감하는 모습이 좋다. 다양한 증상을 그림으로 설명도 해 주시고. 유리아 연고 5개, 연고 1개 처방. 7100원. 유리아 연고는 처방이 없으면 1개 .. 2017. 5. 6.
비와 수제비 ​비 오는 날엔 수제비가 생각이 난다. 비 속을 혼자 자전거 타고 서부시장으로 향했다. ​​ ​어릴 적 비만 오면 아버지는 수제비나 만두를 만들어 주셨다. 농사를 지으셨던 두 분은 비 오는 날엔 일을 못하니 집에 계셨다. 비 오는 날엔 온 식구가 둘러 앉아 반죽을 주무르고 밀어가며 수제비를 만들기도 하고 칼국수랑 만두를 만들기도 했다. 내 어린 시절 부모님께서 만들어 주신 좋은 추억이다. 그 때 내 부모님보다 더 많이 나이든 지금까지 비만 오면 수제비를 먹고 칼국수를 먹으며 어릴 적 추억도 함께 맛본다. 더 오랫동안 그러하겠지... 2017. 5. 5.
5월5일 연휴 3일째 하동 북천 양귀비, 와인갤러리 ​오전 내내 빈둥빈둥 누워만 있다가 어린이날 기념으로 하빈이가 먹고 싶다는 굽네 볼케이노와 숯불구이 치킨 시켰다. ​​ ​하빈이 말로는 중3은 아직 어린이라는군. 몸이 계속 불편한 남편이 갑갑하다며 드라이브 하자고 해서 북천 꽃양귀비 피기 시작하는 곳에 들렀다. 축제는 5월12일 부터 시작한다. 비가 오락가락해서 사람들도 드물고... 이런 날 좋아한다. ​​​​​ ​집으로 오는 길에 와인갤러리 들러서 '다래와인' 한 잔(3000원)을 마셨다. 커피랑 요거트 등도 팔고 있었다. ​​​​​ ​내가 좋아하는 문갤러리 그림도 전시가 되어있고 잠깐 들러 더위 식히고 차 한 잔 하기엔 좋은 곳. 2017. 5. 5.
사전투표 ​5월 4일-5일 이틀동안 전국 동사무소, 시청, 기차역, 공항에서 사전 투표를 실시한다. 나도 한 표. ​ 2017. 5. 4.